줄기세포로 시력회복이 가능할까에 대한 연구 결과 황반 구멍 복구에 성공했다는 일본 연구진! 비인간 영장류 모델에서 시력을 회복하며 면역 거부 반응도 완화되었다고 한다. 재생 의학의 가능성을 열어준 것이다. 난치성 황반 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

최근 일본 연구진이 인간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망막 시트를 비인간 영장류의 눈에 이식해 황반 구멍을 성공적으로 복구하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번 연구는 줄기세포를 활용한 재생 의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며, 난치성 황반 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했습니다.
황반 구멍과 그 영향
황반 구멍은 나이가 들면서 발생할 수 있는 중심 시력 손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눈의 중심에서 선명한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황반에 생기는 틈입니다.
이러한 황반 구멍은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황반 구멍을 치료하기 위해 유리체 절제술(Pars Plana Vitrectomy, PPV)과 같은 외과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일부 환자의 경우 이 방법으로도 구멍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아 대체 치료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를 통한 황반 구멍 복구와 시력 회복
이번 연구는 이러한 난치성 황반 구멍 치료를 위해 인간 다능성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s)를 활용한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했습니다.
연구팀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hESCs)로부터 유래된 망막 시트를 일본원숭이 모델의 눈에 이식했습니다.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이식된 망막 시트가 황반 구멍을 효과적으로 폐쇄했으며, 첨단 이미징 기술로 확인한 결과 치료를 받은 눈이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더 뛰어난 해부학적 복구를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이식된 망막 시트가 성숙한 기능적 광수용체 세포(막대세포와 원추세포)로 발달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이러한 광수용체는 고해상도 시력을 위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줄기세포 기반 치료가 시각 인식을 개선할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치료를 받은 원숭이의 눈이 눈의 고정 및 공간 반응 개선을 통해 시력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밝혔습니다.
이는 이식 후 수개월 동안 지속적인 회복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면역 거부 반응과 스테로이드 주사의 역할
줄기세포 치료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면역 거부 반응입니다.
이식된 줄기세포가 환자의 면역 체계에 의해 공격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를 사용해 이러한 거부 반응을 억제했습니다.
연구진은 이식 후 3개월과 6개월 동안 관찰된 가벼운 거부 반응이 스테로이드 주사로 효과적으로 완화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줄기세포 치료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평가됩니다.
남은 과제와 향후 방향
이번 연구가 보여준 성과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 할 도전 과제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이식된 세포가 숙주의 망막과 완전히 통합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이식된 세포가 기능적 광수용체 세포로 발달했음을 확인했지만, 이들 세포와 숙주 망막 신경 세포 간의 시냅스 연결이 완전하지 않을 가능성을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줄기세포 치료가 가진 시력 복원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면역 거부 반응의 장기적인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가 효과적으로 작용했지만, 이를 인간 임상 시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큰 규모의 임상 연구가 필요합니다.
줄기세포 치료의 가능성과 법적 환경
이번 연구는 황반 구멍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이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법적 및 규제적 과제가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줄기세포 치료가 엄격히 규제되고 있으며, 이러한 치료법은 신약과 동일한 수준의 임상 시험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해야 합니다.
현재 미국 FDA(식품의약국)가 승인한 줄기세포 치료는 혈액 질환에 제한되어 있으며, 황반 구멍과 같은 치료가 가능해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반해, 규제가 비교적 느슨한 국가에서는 줄기세포 치료를 제공하는 클리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멕시코에는 Cellular Performance Institute와 같은 클리닉이 유명 인사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들은 부상 회복을 위한 줄기세포 치료를 제공하며, 많은 환자들이 이곳에서 치료를 받기 위해 방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 클리닉은 규제의 회색 지대에 존재하며, 일관된 결과를 보장하지 못하거나 환자의 안전에 대한 우려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줄기세포 치료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혁신적인 치료법에 신속히 접근할 수 있는 규제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줄기세포 치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법적 환경과 글로벌 접근성이 재편되며,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https://www.nmn.com/news/could-stem-cells-cure-vision-loss-new-study-says-yes